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천지만물77

(76) 피아노 만물이 깨기 전, 이 새벽 더없이 가을을 느낀다. 맞어! 봄, 그리고 여름의 새벽도 내겐 가을이었다. 가을엔 책 읽기에 너무나 좋은 계절이다. 성경을 펼치는데 피아노 소리가 들린다. 아, 가을이구나. 가을에 즐겨 들었던 피아노가 있었지. 모리스 라벨의 Jeux d'eau(물의 희롱)이라는 곡이다. 마음을 추스르려 일기장을 잠시 펼쳤다. 여러분도 함께 이 곡을 들으며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 ↓ Jeux d'eau: 물의 희롱- 모리스 라벨 ( Performed by Jean-Yves Thibaudet) 난 피아노를 못 친다. 연주법을 배운 적이 없다. 악보도 못 읽는다. 하지만 피아노 곡을 즐겨 듣는다. 한때 평생을 들을 것 같았던 피아노 독주곡도 몇 있었다. 피아노 건반이 뿜어내는 가을소리가 지친 삶을.. 2024. 4. 4.
(75) 땡감 서양인들은 감을 신기해한다. 우리교회에 온 외국인연수생들에게 줘보면 금방 알 수 있다. 열이면 열, 이게 뭐냐고 거듭 묻는다. 외국에는 감이 거의 자라지 않아 감을 본 적도, 맛본 적도 없기 때문이다. 단것이 귀했던 옛날, 우리에게 감은 귀중한 과일이었다. 병충해가 있어도 나무가 튼튼히 자라는 감나무를 사랑해왔다. 익지 않아 단단하고 맛은 떫은 상태의 감을 땡감이라 부른다. 반면 색상이 홍(紅)이며 단맛인 감을 홍시라 부른다. 약간 손이 지저분해질 수 있지만 홍시의 맛은 굉장하다. 재작년이다. 강서 예배당의 할머니 집사 한 분이 냉장고에 얼려둔 홍시를 대심방 때 내놓으셨다. 홍시와는 또 다른 약간 들큼한 그 맛을 아직 잊을 수 없다. 또 있다. 감을 맛나게 먹는 또 다른 방법 말이다. 설익고 떫은 상태의.. 2024. 4. 3.
(74) 낫 벼리기 추수 때다. 익은 곡식을 거둘 그간 소망하던 때다. 신두리 사구에 여문 성락미(聖樂米)는 얼마나 알찰까? 높은 하늘이 황금 들판을 질시하겠지. 그래, 낫을 대자. 요즘이야 쌀을 낫으로 거두랴. 그래도 옴팡진 구석이나 논뙈기는 낫이 제격이다. 우리 낫이야 그리 크진 않다. 정겹다. 서양의 낫, 특히 양팔로 휘두르는 벌낫은 무서우리만치 크다. 신약성경에도 낫질이 나온다. 천국의 씨 뿌리는 비유(막4:9)에 나온다. 계시록에는 두 번의 낫질이 있다. “이한 낫을 가졌더라.”(계 14:11와 17) ‘이한 낫’은 한자로 ‘利한 낫’이다. 날카로운 낫이란 뜻.예리(銳利)하다 에서 온 말이다. 한 번은 곡식을 거둘 때 이한 낫을 휘둘렀다. 또 한 번은 포도송이를 거둘 때였다. 포도송이를 거둘 때의 낫은 큰 벌낫이 .. 2024. 4. 2.
(73) 잔뿌리 한번쯤은 봤을 법하다. 필자도 밥상 크기만한 애들 그림책에서 봤다. 구 소련의 옛 동화다.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큰 무를 발견했다. 아무리 힘을 써도 뽑을 수가 없었다. 키우던 개를 부른다. 고양이도 부른다. 힘센 소도 불렀지만 큰 무가 꼼짝도 않는다. 늘 천대꾸러기이던 새앙 쥐가 지나간다. 힘이나 쓸까? 백짓장도 맞들면 낫다는 생각에 부탁해 본다. 쥐가 땅 속으로 들어가 잔뿌리를 모두 갉아 먹는다. 그러자 집채 만한 큰 무가 쉽게 빠졌다는 이야기다. 보잘것없는 잡초로부터 키 큰 나무에 이르기까지 뿌리가 생명의 끈이 다. 깊은 곳에서 빨아올린 물과 영양분을 100m 이상의 꼭대기에 있 는 잎까지 뿜어 올린다. 허니 뿌리가 잘 묻혀야 열매도 풍성하다. 성경 에도 씨 뿌리는 비유가 있지 않은가. 돌밭에 뿌려진.. 2024. 4. 1.
728x90
반응형